TDD(2)
-
TDD
오늘 면접봤는데 TDD가 그저 테스트코드 작성이라고 알고있었다. 여차저차 대답은 했다고 생각했는데 또 아니라고 하시니 다음엔 대답할 수 있도록 알아가야겠다. Test Driven Development의 약자로 '테스트 주도 개발'이라고 한다. 설계 이후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아닌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한 이후에 실제 코드를 개발하여 리팩토링 하는 절차를 따른다. 이러한 이유로 Test First Developement라고도 한다. 디자인(설계) 단계에서 프로그래밍 목적을 반드시 미리 정의하고, 또 무엇을 테스트해야 할지 미리 정의(테스트 케이스 작성)해야만 한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예외 사항(버그, 수정사항)들은 테스트 케이스에 추가하고 설계를 개선한다. 이후 테스트가 통과..
2022.09.22 -
86/99 JEST이용 TDD
테스트코드 작성을 시작한지는 꽤 됐는데 처음에 코드를 작성할때는 기능 구현에만 초점이 맞춰져있어서 아 기능만 되면 됐지~ 라는 마인드로 했기때문에 코드가 엉망이여서 여러번 수정하고 또 수정했다. 최대한 한 기능에 한 메소드만 포함시키려고 노력했고 만약 A, B, C 기능에 모두 검색기능이 포함되어야 한다면 검색을 따로 빼서 각 API에 포함시켰다. 다 하고나니까 전에 isMember 라는 미들웨어를 구현해놓은것 처럼 됐다. 결국 A,B,C기능도 검색 결과가 없다면 시작할 필요도 없던 기능이였기때문에 편하게 됐다. 또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서 필요없는 조건들이 정말 많구나 생각이 들었다. 당시에는 꼼꼼하게 예외처리 한다고 달아놓은 조건들이 였는데 다시보니까 터무니없는 조건이거나 앞에 미들웨어에서 이미 충분..
2022.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