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3)
-
31/99 this? 구조분해할당?
오 .. 벌써 한달이 지났다니. 처음으로 주어진 과제를 미리 끝내고 자율 공부시간이 주어졌다. 이후 프로젝트를 위해서 준비를 해야겠다. 일단 이번주에 애매했던 또는 헷갈렸던 개념에 대해서 짚고 넘어가려 한다. 일단 this this의 값은 호출하는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오브젝트 내 함수안에서 쓰면 그 함수를 가지고있는 오브젝트를 뜻함. 2.클래스 안에서 쓰면 새로 생성되는 오브젝트를 뜻한다. 구조분해할당(Destructuring assignment) 이건 지난주에 한번 알았다고 생각했는데 꽤 다양하게 쓰이길래 쓸 줄도 알아야 🧐
2022.06.08 -
19/99 node 기초주차 단어들 정리
TIL 머릿속에 이것저것 뒤엉켜져 있어서 도저히 정리가 안되는중 예전에 주머니속에 꼬여있던 줄 이어폰이 생각난다. 지금부터 정리를 위해 하나하나씩 써내려가겠다. 순서: 강의자료에 나와있는 설명 & 딱 내가 이해한 느낌 일단 지난 한주간은 Node.js 기초 주간이였다. 과제물로 제출한 코드의 반은 이해할까 싶은 느낌. 마치 어떤 툴들을 양식에 맞게 사용한 느낌이다. (근데 또 프레임워크니까.. 이게 맞는건지도) 1 . express 라이브러리. 쉽게 서버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게 만들어진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서버 프로그램 구성용 도구모음 2. HTTP 통신 규약,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 정해둔 약속 통신할때 지들끼리 이렇게 하자라고 정해놓은 양식 3.웹 서버 인터넷을 통해 HTTP를 이용하여 ..
2022.05.27 -
1/99 항해 시작, 미니 프로젝트 기획
항해 99 1일차 Today I Learned. 항해 1일차 시작은 웹개발 미니 프로젝트 입니다. 과연 초심자들에게 미니일까 싶지만 :( 아이디어 회의과정에서 일기 앱 mooda 처럼 하루하루 간단하게 기록을 남기는 웹으로 정했습니다. 항해 99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이기에 그 컨셉에 맞게 99일동안의 공부 일지를 남기는 것. 일단 필수 포함 내용은 Jinja2 템플릿 엔진을 이용한 서버사이드 렌더링 JWT 인증 방식으로 로그인 구현하기 필수 포함이란건 반드시 공부해야 한다는 뜻이므로 이번 프로젝트가 끝나기전에 위의 두가지를 해낼 수 있어야 합니다. 이후 메인 화면에서 이루어지는 건 항해 컨셉에 맞게 일자에 맞게 배가 이동하고 그 일자 하나하나를 버튼으로 만들어서 그 버튼을 누르면 일지를 기록할 수 있어야..
2022.05.09